안녕하세요, 오늘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도 불리는 '빌헬름 분트'라는 심리학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의 본명은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로, 독일의 심리학자, 철학자 겸 생리학자입니다. 심리학에서는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빌헬름은 독일 바덴의 네카라우라는 지역에서 1832년 8월 16일에 태어났습니다. 그는 학부 시절, 대학교에서 철학과 생리학을 공부한 후, 생리학적 심리학 연구에 생을 바쳤습니다. 이후에는 본인의 모교인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거의 30년 가까이 되는 기간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특히, 그가 1879년 개설한 심리학 실험실에는 세계의 심리학자들이 모여들었고, 이는 실험 심리학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후에 그는 민족 심리학 분야에 대해서도 연구하는 등 비교 심리학과 문화 인류학의 발전에도 큰 부분 기여했습니다.
분트는 심리학이 과학적으로 뒷받침되는 학문이 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의식에 대해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분트는 화학자들이 연구를 진행할 때 어떤 물질의 구조를 파헤치기 위해 물질을 몇 가지 기본 요소로 쪼개는 과정을 거치는 모습을 보게 되었고, 심리학에서도 구성주의라는 접근 방법을 택하게 되었습니다. 잠깐! 구성주의란 무엇일까요? 인간의 의식을 감각, 그리고 느낌이라는 세세한 구성요소로 나누어 분석하는 방법을 뜻합니다. 또, 분트는 인간의 다양한 의식상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내성법을 사용하였는데요, 여기서 내성법이란 자기 자신이 겪은 경험에 대한 주관적인 관찰 및 내부 성찰법을 뜻합니다. 이처럼 분트는 측정과 실험 제어 등의 방법을 통해 의식의 영역을 구성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이는 심리학과 철학이 완전히 다른 분야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데 이바지했습니다.
이외에도 분트의 업적은 매우 다양한데요, 분트는 현대 심리학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 인물 중 한 명이기도 합니다. 분트가 심리학 발달에 기여한 업적 중 대표적으로 한 가지를 꼽는다면, 그의 연구들이 실험적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엄격하게 통제된 조건들을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이를 계기로 행동주의자와 같은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 또한 실험에 있어서 과학적인 접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몇몇 현대 심리학자들은 분트가 주장한 내성법의 실험 방법론이 과학적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실제로 과학이 될 수는 없다고 주장합니다. 왜냐하면, 내성법으로 얻은 결과는 오직 관찰할 수 있는 행동만 측정하기 때문에 주관적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정확히 검증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분트의 업적은 비판받기도 했지만, 중요한 점은 분트의 자연과학을 적용한 심리학이 기존의 철학과 유사하다고 평가받았던 심리학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꿨다는 점입니다. 또, 동시에 실험 심리학을 통해 현대 심리학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빌헬름 분트는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학자_지그문트 프로이트 (0) | 2023.03.05 |
---|---|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학자_찰스 다윈 (0) | 2023.03.05 |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_깨진 유리창 이론 (0) | 2023.03.05 |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_칵테일 파티 효과 (0) | 2023.03.05 |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_심리 검사 (0) | 2023.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