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_초자아

by 오일리나잇 2023. 3. 1.

심리학에서 다루는 초자아에 대해 이해하기에 앞서, 자아에 대한 개념과 자아의 철학적 의미에 대해 알아봅시다.


자아란,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모든 경험을 하는 바로 그 당사자라고 생각하는, 즉 의심할 수 없는 자기 자신을 말합니다. 예로부터 칸트라는 학자는 본능 혹은 욕망에 의해 살아가는 경험적인 자아 이외에도 도덕적으로 살아가려는 양심을 인간의 본질로 취급하여 '본래의 자기'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또, 심리학자인 카를 융은 원형으로서의 자기 자신과 대응되는 자아를 언급한 바 있습니다.

초자아에 대해 탐구하기 전, 자아의 개념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이트의 정의에 따르면, 자아라는 이론은 1923년 이전까지는 '의식'을 기반으로 하여 '자기 자신'의 의미로 쓰이고 있었습니다. 즉, '나'에 가까운 것으로 이해되었던 것입니다. 왜냐하면, 1923년 이전의 프로이트는 의식과 무의식의 구별을 기반으로 '정신'을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시기 이후, 프로이트는 심리적 구조론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발표하고 나서, 자아라는 개념은 의식과 전의식에 무의식을 포함한 마음의 구조를 뜻하는 개념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렇다면, 심리학에서는 자아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요? 먼저, 인지 심리학에서는 거울 속의 자기 모습을 인지할 수 있거나 특정 상황에서 부끄러움을 경험하는 것과 같은 자아의 초기 발달과정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이 속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아 정체감 등을 다룹니다. 이처럼 자아는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를 거쳐 끊임없이 발달하고 변화하는 것입니다. 이와 다르게 발달 심리학에서는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얻게 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자아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서적 자아는 생후 15개월을 전후하여 지속해서 발달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초자아는 자아와 에스를 가로지르는 개념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초자아는 양심, 도덕관, 가치관 등을 자아 및 에스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됩니다. 조금 더 엄밀히 말하자면, 초자아는 의식과 무의식 양쪽 모두에게 발현되며 스스로 의식할 수 있는 경우와 의식할 수 없는 경우로 분류됩니다. 또, 초자아는 기본적으로 부모님의 윤리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모의 선물'이라고 표현되기도 합니다. 이를 정신분석학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심리적 상태를 기반으로 형성된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초자아는 자아의 방위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도 여겨집니다. 예로, 프로이트는 자아가 단독으로 실현되기는 힘들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초자아는 에스의 요구를 전달하는 역할도 합니다. 그 밖에도 초자아는 자아 그 이상을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또, 자아가 이상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방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초자아는 수면 중 꿈을 가공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프로이트는 초자아를 자아를 통제하고 검열하는 재판관 혹은 검열관에 비유하기도 했답니다.

추가로, 초자아는 전두엽 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이론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에 따른 뇌과학적 실증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