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_정신분석학

by 오일리나잇 2023. 3. 1.

오늘 다룰 주제는 심리학의 한 갈래라고 설명할 수 있는 정신분석학입니다. 앞서 작성한 글에서도 여러 번 언급되었습니다.
정신분석학이란, 유명한 심리학자인 프로이트가 만들어낸 심리학의 한 갈래입니다. 이 학문은 인간의 행동을 내적 욕구 간 충돌의 표출, 내적 욕구가 사회적 요구와 조화하는 과정의 표출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특성이 있다면, 정신분석학에서는 내적 욕구와 사회적 요구가 조화롭지 않을 때 이것이 정신적 질환으로 나타난다고 간주합니다. 또, 프로이트는 내적 욕구를 주로 성적 욕구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모든 정신 분석가들이 이에 동의하지는 않았다고 전해집니다.

정신분석학을 설명하려면 프로이트라는 학자가 빠질 수 없습니다. 정신분석학은 모든 정신의학 이론의 근간이 되었다고 설명할 정도로 심리학에서는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과학적 사고방식을 통하여 무의식을 연구하고 깨닫는 과정이 곧 정신분석입니다. 또한 정신분석을 바탕으로 한 심리 치료의 경우 의사나 환자의 관계가 동등하고 토론이나 대화의 형태에 가깝습니다.

프로이트는 주로 의식의 세계에서는 인지할 수 없지만 존재하는 무의식의 구조에 대하여 연구했습니다. 프로이트가 처음에 설명한 지형학적 모델이란,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정신의 밑에는 현재 인식되지는 않지만 언제든지 다시 꺼내올 수 있는 전의식이 존재한다는 이론입니다. 이후에 프로이트는 이러한 지형학적 모델을 역동적 정신 구조론으로 보다 더 구체화했는데, 이것이 바로 자아-초자아-이드의 3원적 기능을 설명합니다.

하지만, 해당 이론이 인정받기 전, 프로이트와 정신 분석가들은 강도 높은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정신분석학에 대한 비판과 옹호 사이의 갈등이 너무 강했던 나머지 이 논쟁을 프로이트 전쟁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초기에 주장되었던 비판은 정신분석학이 너무 임상적인 사례 연구에만 치중되었던 까닭에 양적인 실험 연구를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었습니다. 따라서 몇몇 학자들은 프로이트를 위조 혐의로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현재에도 정신분석은 꾸준히 의사들을 비롯한 많은 심리학 전문가들에 의해 시행되고는 있지만 확실히 이전보다는 감소한 행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신분석의 이론상 토대는 현상학으로 이어지는 철학적 흐름에 있고, 그렇기 때문에 심리학의 실증주의적 접근과 양립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정신분석가이자 아동 정신과 의사인 브래들리 피터슨은 "정신분석은 막바지에 도달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2004년 프랑스에서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정신분석적 요법은 다른 정신요법에 비해 덜 효과적이라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정신분석적 요법의 효과는 치료사의 자질에 의해 좌우된다는 사실을 입증했던 것입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다양한 연구를 메타분석법을 사용해 여러 경우에 요법의 효과가 입증되었는지를 연구했습니다. 정신분석은 심리학에서는 이와 같은 비판을 받아왔지만, 교육학과 같은 몇몇 분야에서는 그 영향이 널리 파급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