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작적 조건화는 행동주의 심리학 이론입니다. 이는 어떤 반응에 대해 선택적 보상을 줌으로써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방법을 뜻합니다. 따라서, 선택적 보상이란 강화와 벌을 의미합니다. 조작적 조건화는 자동적 조건화 혹은 도구적 조건화라고도 말합니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스키너 상자라는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스키너 상자의 내부에는 지렛대가 있으며, 이는 맛있는 먹이가 담긴 상자와 연결되어 지렛대를 누를 경우, 먹이가 조금씩 밖으로 나오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스키너라는 학자는 이 상자를 이용하여 조작적 조건형성을 실험했습니다.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강화를 조건화의 과정에서 무조건자극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와 다르게 조작적 조건화는 부여하는 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따라서, 조작적 조건화가 성공적으로 발생하기 위해서는 강화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스키너 상자라는 실험의 진행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아무것도 먹지 못한 흰 쥐 한 마리를 상자에 넣어둡니다.
2. 흰 쥐는 상자 안을 돌아다니다가 지렛대를 누르게 됩니다.
3.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옵니다.
4. 지렛대와 먹이의 상관관계를 알지 못하는 쥐는, 상자를 다시 돌아다닙니다.
5. 또다시 우연히 지렛대를 누른 흰 쥐는 지렛대를 누르는 행위를 자주 하게 됩니다.
6.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어 흰 쥐는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온다는 것을 학습하게 되는 것입니다.
강화의 종류로는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가 있습니다.
강화란, 특정 대상이 어떠한 행동을 한 뒤에 원하는 반응을 제공하여 그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행동을 뜻합니다. 유기체가 선호하는 자극을 제공하여 유기체를 강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기체가 혐오하는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유기체를 강화하는 방법도 존재하는데, 선호 자극을 제공하여 행동을 증가시키는 강화를 정적 강화라고 정의하고, 혐오자극을 제거하여 유기체의 행동을 증가시키는 강화를 부적 강화라고 정의합니다.
이러한 개념을 프리맥 이론에 적용해 이해해봅시다. 프리맥이라는 학자는 연구 과정에서 보상으로서 발생하는 자극이 아닌 자신의 행동이라는 유형의 자극 또한 강화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프리맥에 의하면, 유기체가 즐겨 하는 행동은 즐겨 하지 않는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강화로써 사용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쉬운 예로, 비디오게임을 좋아하는 아이에게 숙제를 모조리 끝내게 한 뒤에 게임을 하도록 지시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아이가 좋아하는 게임은 숙제를 끝내게 하기 위한 강화로 작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반대의 작용은 효과가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프리맥 원리에서 이해하는 강화인은 긍정적 행동이 발생한 이후에 제공해야 올바른 효과를 얻게 되는 것입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_심리 검사 (0) | 2023.03.05 |
---|---|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_인지부조화 (0) | 2023.03.01 |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_고전적 조건형성 (0) | 2023.03.01 |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_정신분석학 (0) | 2023.03.01 |
[심리학] 심리학의 주요 이론_방어 기제 (0) | 2023.03.01 |
댓글